<마더>(봉준호) - 가족을 위해 싸운다는 것은, 가족을 위해 누군가를 상처 입힌다는 뜻
하나뿐인 아들이 살인자로 몰립니다. 아무도 아들의 결백을 믿어주지 않습니다. 어머니는 아들의 결백을 증명하기 위해서 혼자 사건을 조사하려고 나섭니다. 지금까지 봉준호 영화가 다 그랬듯이 이번에도 사회는 아무 도움이 안 됩니다. 더 볼 것도 없이 아들을 범인이라고 생각한 경찰과 변호사들은 사건을 덮어버리려고 합니다. 어머니는 주위 사람들에게 묻고 물으며 진상을 캐고 다닙니다.
제목 그대로 영화의 초점은 '어머니'에게 맞춰져 있습니다. 어머니 혜자는 일하는 중에도 아들에게서 눈을 떼지 못하고, 성인이 된 아들에게 아직도 밥을 먹여주며, 잠자리도 같이 합니다. 아들이 부탁하지도 않는데 챙겨주려고 합니다. 그 때문에 아들에게 미움받아도 신경쓰지 않습니다. 어머니가 아들을 챙겨주고 있지만, 실제로는 어머니가 아들에게 의존하고 있습니다. 허구한 날 주변 여성들에게 아들 낳기를 추천하고, 자식 자랑으로 세월을 보내며 살아갑니다. 아들의 존재만을 삶의 의미로 삼을 수밖에 없는 나약한 사람입니다.
주인공이 이렇게 무력한데도 불구하고 영화가 스릴 있는 이유가 여기 있습니다. 어머니는 아들을 결코 포기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수단 방법을 가리지 않습니다. 처음에는 단순한 호소와 시위 정도로 시작했으나 점차 폭주합니다. 스토킹과 잠입까지 동원하더니, 뒷조사에다가 마침내 젊은 친구의 도움으로 폭력과 협박지 동합니다. 그리고 영화의 스토리가 절정에 달한 순간, 어머니는 아들을 지키기 위한 최후의 수단을 동원하고, 결국 넘어서는 안 되는 선을 넘어버립니다.
가족을 지키기 위해 싸운다고 하면 듣기는 좋습니다. 하지만 싸움이란 누군가를 상처입히는 일입니다. 어머니는 아들을 정말로 사랑했지만, 그 사랑을 위해 많은 사람들에게 크고 작은 상처를 입혔습니다. <마더>는 누군가에게 상처입고 누눈가를 상처 입힐 수밖에 없는 소시민의 삶을 그려낸 영화입니다. 영화 속의 어머니의 폭주는 관객들을 공포게 떨게 하는 한편으로, 그녀의 애환에는 공감하지 않을 수 없게 만듭니다. 그 두 가지 감정 속에서 관객들은 어머니에서 눈을 떼지 못하고, 결국 마지막에 괴로웠던 사실을 모두 잊고 그저 흐름에 몸을 맡기는 어머니의 모습에 자신의 삶을 겹쳐보게 됩니다.
소박하게 살아가는 사람들의 삶을 극적이면서도 가감없이 보여주는 미장센과 플롯은 훌륭합니다. 다만 영화가 지나치게 무거워서 관객을 피곤하게 만드는 것은 아쉽습니다. 아예 영화에 필요없는 것은 아니지만 필수적이라고 하기는 힘든 장면이 많습니다. 특히 진태의 집에 숨어들어가는 장면이 그렇습니다. 꼭 보여줄 필요도 없는 장면인데 쓸데없이 자극적이기까지 합니다. 또한 영화의 분위기를 위해서라지만 너무 우중충한 색채의 장면만 나오는 것도 아쉽습니다. 조금은 분위기를 풀어주는 내용을 넣어서 완급을 조절하거나, 반대로 불필요한 장면을 조금만 더 줄이고 빠른 템포로 진행했다면 훨씬 접근성이 높아졌을 겁니다.